2020 재산세 납부 이벤트 (할인카드, 캐시백, 지방세 혜택, 서초구 감면)
지방세 이렇게 납부하세요
재산세 고지서가 날아왔다.
재산이 있는 줄 모르고 살다가 돈을 내라는 통지서를 받고야 실감한다.
사이버 머니를 유지하려면 현실이 팍팍하다.
납부를 하고 나니 문득 할인받을 방법은 없었나 생각하게 된다. 나는 이미 납부했지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까 해서 알아보는 재산세 납부 이벤트 및 할인 방법이다.
재산세 납부 꿀팁 총정리
1. 신세계상품권 + 쓱페이
SKT 고객이라면 이마트 매장에서 신세계상품권을 최대 7% 까지 할인 받아 구매할 수 있다. 1회 구매 한도는 10만 원, 연간 구매 한도는 100만 원이다. SKT 고객이 아니라면, 상품권 판매점에서 3% 정도 할인된 금액에 구매 가능하다.
신세계상품권을 구매했다면 쓱페이(SSG PAY) 앱을 다운로드해 상품권 금액을 SSG 머니로 바꾼 다음 세금 납부에 활용하면 된다. 참고로 1만 원짜리 상품권은 모바일 충전이 안 되더라.
2. 롯데 엘페이 (L.pay)
엘페이로 서울이나 부산지역 재산세 납부 시 금액에 따라 엘포인트를 주는 이벤트가 진행 중이다. 최대 12,000 포인트까지 받을 수 있다. 단, 9/30 까지는 재산세를 납부해야 한다.
서울은 PC (e-tax) 와 모바일 앱 (s-tax) 모두에서 납부할 수 있지만, 부산지역 재산세는 PC 에서만 납부가 가능하다(e-tax).
3. 우리카드
우리 신용카드의 경우 재산세 30/50/100 만 원을 납부했을 경우 각각 5천 원/1만 원/1만 5천 원을 캐시백 해준다. 납부는 10/5 까지 완료하면 되고, 응모가 필수이다.
우리 체크카드는 납부금액의 0.2% 를 캐시백 해준다. 단, 이달 말인 9/30 까지 납부가 완료되어야 한다.
4. 국민카드
KB국만카드는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50만 원 이상을 납부한 고객에 한해 스타벅스 애프터눈 티 세트를 증정한다. 국민 BC 카드나 법인카드는 제외이고, 홈페이지 가입 및 응모가 필수이다.
재산세가 50만 원 이하라면 체크카드를 활용하면 되는데, 이미 유명한 직장인보너스 체크카드는 재산세 7000원 환급 할인을 제공한다.
5. 신한카드
신한 체크카드는 9/30까지 납부한 재산세에 한해 금액의 0.17% 를 캐시백해주는 이벤트를 진행중이다. 단, 캐시백 금액이 만 원 이하이면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된다.
6. 그 외
네이버에서 납부하는 이벤트가 있지만 일부에게만 혜택이 있고, 8월에 이미 네이버로 고지서를 받는 이벤트 신청을 해 두었어야 한다.
현대카드도 납부 금액에 따라 캐시백을 해 주는 이벤트가 있지만 대상자들에게 개별 문자로 안내되기 때문에 제외했다.
푼돈 치워, 끝판왕 나간다
이렇게 한두 푼 아끼려고 정보를 찾는 와중에 가뭄의 단비 같은 소식.
서초구 재산세 50% 환급 FLEX!
조은희 구청장이 1가구 1주택, 공시가격(시세 X) 9억 원 이하 주택 보유자에게 재산세를 50% 를 환급해 주기로 결정한 것이다.
하... 감동... 이지 않을 수 없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