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변경되는 부동산 양도세제
안녕하세요, Bliss 입니다.
펀드 수익률에 수수료가 영향을 주듯
부동산 양도차익에는 세금이 그러합니다.
그 중 가장 크게 체감하게 되는 양도세의
변동사항 및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1주택자 비과세 요건 주의
우리나라는 1주택자가 아래 조건을 충족할 경우 주택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 비조정지역: 2년 보유
- 조정 · 투기 · 투기과열지역: 2년 보유 + 2년 거주
또, 일시적 1가구 2주택자는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죠.
- 신규주택을 종전주택 취득일로부터 1년 이상 지나 취득
- 종전주택은 양도일 현재 비과세 요건(보유 및 거주) 충족
- 신규주택 취득일로부터 1년 내 종전주택 양도
- 신규주택으로 1년 내 이사 · 전입
1주택 상태를 유지해 왔거나,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변경될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다주택자는 다릅니다. 다주택자가 1주택자로 된 후 최종 1주택 보유일로부터 기산해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적용한다는 변경사항 때문입니다. 비조정지역에 A · B · C 라는 세 채의 주택을 보유한 경우를 예로 들면 이렇습니다.
- 현행: B · C 를 먼저 팔고, A는 2년 보유 요건을 충족한 상태면 A 비과세 가능
- 변동: B · C 를 먼저 팔고, A만 남은 시점부터 2년을 보유해야 A 비과세 가능
2. 분양권 보유자 주의
조정지역에 분양권을 보유하신 분들에게 해당되는 이야기지만, 조정지역의 범위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분양권 보유자라면 모두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우선, 다주택자의 조정지역 주택 양도 시 분양권도 주택 수에 포함하여 양도세 중과가 적용됩니다.
기존에도 청약이나 대출한도 산출에 주택으로 계산되어 제약을 주긴 했지만, 양도세 중과와는 무관했는데 말이죠.
또한, 조정지역 내 주택 분양권에 대해 보유기간에 상관 없이 양도세율이 50% 로 상향됩니다.
조정지역이나 주택이 아닌 경우 현행 세율이 적용되고요.
- 현행: 1년 미만 보유 = 50% / 1년 이상~2년 미만 보유 = 40% / 2년 이상 보유 = 일반세율(6~42%)
- 변동: 일괄 50%
3. 주택 · 조합원입주권 2년 미만 보유자 주의
2021년 이후 2년 미만 보유한 주택이나 조합원입주권을 매도하시려는 분들은 계획을 잘 짜셔야 합니다.
2년 미만 보유 주택이나 조합원입주권에 대한 양도세율이 인상되기 때문입니다.
- 현행: 1년 미만 = 40% / 1년 이상 = 기본세율(6~42%)
- 변동: 1년 미만 = 50% / 1년 이상~2년 미만 = 40% / 2년 이상 = 기본세율(6~42%)
현명한 경제생활,
알기 전엔 어려운 세테크도 한 몫을 하니
잘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
'재테크 정보 무료나눔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주택청약하는 법 A to Z (0) | 2020.04.17 |
---|---|
2. 보증금을 지키는『전세계약』노하우 (0) | 2019.10.19 |
1. TV 예능으로 부동산 임장하기 (0) | 201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