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기예금 3

9. 고금리 예금의 대안(3)

고금리 예금의 대안(3) - ELT, ELS, ELF 안녕하세요, Bliss 입니다. 고금리 예금의 대안 마지막 편으로 ELT, ELS, ELF 를 준비했습니다. 이것 역시 원금 비보장형 상품이니 유의하시되 어려운 상품이란 생각은 마시고 봐주세요. ^^ 이 외계어들은 무엇인가 ELT(이엘티. Equity Linked Trust). 해석하면 주가연계신탁입니다. ELS(이엘에스. Equity Linked Securities). 해석시 주가연계증권입니다. ELF(이엘에프. Equity Linked Fund). 해석하면 주가연계펀드입니다. 각각 증권, 펀드이지만 공통적으로 '주가연계'가 붙어 있습니다. 여기서 주가는 상품에 따라 '삼성전자' 같은 개별종목의 주가가 되기도, KOSPI200(한국), S&P500(..

7. 고금리 예금의 대안(1)

고금리 예금의 대안(1) - 지수연동예금(ELD) 안녕하세요, Bliss 입니다. 어렵게 모은 목돈을 불리려는 분들을 위해 정기예금과 비슷한 용도(?)의 대안상품을 3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ELD'는 그 중 가장 위험도가 낮은 원금 보장형 상품입니다. 모든 상품의 가입은 본인의 판단과 투자성향과 자금용도에 맞게끔! 아시죠? ^^ 지수연동예금(ELD)란 무엇인가 초록창에서 찾은 지수연동예금의 정의입니다. 자산 대부분을 채권에 투자해 원금을 보존하면서 일부 자산을 선물·옵션 등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을 말한다. 지수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는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증권·투신사에서 파는 주가지수연계증권(ELS)과 비슷하지만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원금이 보장된다. -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매일..

6. 정기예금의 모든 것

정기예금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Bliss입니다. 매달 모은 적금이 만기되어 목돈이 생기면, 정기예금으로 상품 가입 단계가 넘어갑니다. 적금에 이어, 정기예금을 현명하게 가입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적금과 정기예금의 차이 적금의 '적'은 한자로 쌓을 적(積)을 씁니다. 그러니 만기까지 돈을 쌓아가는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정기예금의 '예'는 한자로 맡길 예(豫)를 씁니다. 즉, 맡긴 돈을 만기에 찾아가시는 상품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적금과의 구분을 위해 이렇게 설명했는데, 오해를 막기 위해 덧붙이겠습니다. 정기예금이 아닌 자유입출식예금(우리가 흔히 입출금통장 하나 만들께요~라고 하는 것)은 '예'가 붙지만 당연히 언제든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상품입니다. 또, 요즘은 정기예금을 가입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