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정보 무료나눔/금융상품

1. 적금 금리비교 쉽게 하기

Donajumany 2019. 5. 3. 08:49
반응형

적금 금리 비교 쉽게 하기

 

못 먹고! 못 쓰고! 모으는 돈, 이자 한푼이라도 더 받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STEP 1. 은행연합회 금리비교 

 

진정한 정보는 내가 찾는다는 마음가짐으로 은행연합회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시중은행의 예금, 적금 금리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은행연합회: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search.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portal.kfb.or.kr

 

물론, 해당 은행에서 이용하는 급여이체, 카드 등의 실적에 따라 가산금리(우대금리)는 바뀔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절대적인 데이터는 아니지만, 어느 은행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금리의 적금상품을 제공하고 있는지는 알 수 있답니다.

 

내가 가입하려는 개월 수를 세팅하시면 금리가 높은 순으로 쪼로록~ 상품이 뜹니다. 

현재는 K뱅크와 카카오 뱅크가 상위에 랭크되어 있네요.

 

금리, 금액, 가입기간을 넣고 계산기 어플을 두드려 보니 2.8% 의 이자율로 월 100만원씩 적금을 했을 때 1년 후 나오는 세후 이자는 15만원 정도입니다.

 

인터넷 은행은 당연히 모바일 인증을 통해 계좌개설이 가능하고, 다른 은행들도 비대면 계좌개설이 가능한 곳이 많으니 꼭 은행에 방문하지 않으셔도 적금을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은행연합회 홈페이지]

 

 

STEP 2. 저축은행중앙회 금리비교 

 

위에서 1,200만원을 12개월이나 묵혔는데 15만원? 이라고 대노하실 분들이 분명히 계십니다. 

워워. 아닙니다. 첫 번째 달에 입금한 돈은 통장에서 12개월을 살았지만,

열 두번째 달에 입금한 돈은 통장에서 겨우 1개월 밖에 살지 않았습니다.

1개월 묵은 돈은 1개월 만큼의 이자가 붙게 됩니다.

첫 입금한 100만원과 마지막에 입금한 100만원이 가져오는 이자금액은 다릅니다. 

 

알았으니 더 이자를 많이 받을 방법을 가져오라고 하실 분들을 위해 저축은행을 소개합니다. 

저축은행 중앙회 사이트에서 저축은행들의 예금, 적금만 모아 금리비교를 해놓았습니다. 

 

- 저축은행중앙회: https://www.fsb.or.kr/financepro/deposit_info06.do

 

금리보기 | 예금안내 | 금융상품 |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가입원금+이자를 합해 5천만원 이내에서 예금자보호제도가 적용되는 것은 시중은행과 동일합니다.

 

높은 금리 순으로 보시려면 개월 수 옆에 붙어 있는 삼각형()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특정 지역에만 있는 저축은행이 있다 보니 지역별 검색도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가장 금리가 높은 두 적금은 사회적배려대상자 전용이라 12개월 가입시의 실질적 최고금리는 3.2% 네요.

3.2% 의 이자율로 월 100만원씩 적금을 했을 때 1년 후 나오는 세후 이자는 17만원 정도입니다.

 

일부 저축은행은 비대면 계좌개설이 가능하고, 

SB톡톡이라는 모바일 어플로 가입이 가능한 곳도 있습니다만,

모바일 어플의 경우 가입절차를 완료하기까지 상당한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저축은행중앙회 홈페이지]

  

 

STEP 3. 포인트는 금리가 아닐 수 있다 

 

목표는 돈을 불리는 것인데, 이자율이 아닌 어디에 포인트를 두라는 것이냐?

답은 '가입 상황과 목적'입니다.

내 상황과 목적에 맞거나 유리한 상품을 찾는 것이 적금을 성공적으로 가입하는 방법입니다.    

 

얼마를 넣을지, 정기적으로 불입할지, 자유롭게 불입할지 각자의 계획이 다릅니다.

금리가 높은 상품을 가입해도 중도해지시 이자를 다 받을 수 없고,

때론 금리가 낮아도 적금보단 청약이 훨씬 높은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 내용에 대해 다른 포스트에서 또 다룰 예정이라, 간단히 예시만 들고 넘어가겠습니다. 

 

 

<예시>

 

1) 매일 아낀 돈에서 몇 천원씩 저축 --- 단기 고금리 적금(가입금액 제한) 

2) 알바비에서 10만원씩 저축하려는 대학생 --- 청약 / 저축은행 정기적금(매달 꼭 넣도록)   

3) 군대 월급 중 20만원씩 저축하려는 군복무자 --- 청약 / 은행별 군인적금(가입금액 제한)

4) 월급에서 100만원씩 저축하려는 사회초년생 --- 청약 / 세액공제상품 / 주거래은행 적금

                                                                  ※ 중소기업재직시 내일채움공제 알아볼 것  

5) 아이들 학자금 용도로 각 15만원씩 저축하려는 주부 --- 청약 / 저축보험 

6) 목적자금 용도로 월 200만원씩 저축하려는 맞벌이 부부 --- 청약 / 저축은행 자유적금(추가불입 가능하도록)

 

 

- 군인공제회: http://www.narasarang.or.kr/pt4000/selectPt4000BbscList.do

[군인공제회 홈페이지 Q&A]

 

- 내일채움공제: https://www.sbcplan.or.kr/intro.do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이 귀찮으신 분들을 위한 금리비교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하루 5백원씩 덜 쓰시면 월 1만 5천원, 연간 18만원 입니다. 

가장 빠르게 가입하실 수 있는 방법으로 적금을 들고, 하루 평균 5백원씩만 절약해 보시기 바랍니다. ^^

 

 

 

 

반응형